1. MEMORY PRICE TREND 1-1. 예상가격 추세 가. 9월 ~ 10월 가격이 소폭 5~6% 상승추세 전환. 기준 : DDR4 3200 8GB SO-DIMM 나. 프리미엄 스마트폰향 모바일 D램의 판매가격이 전 분기 대비 2~3% 상승해 D램 부문의 영업흑자 전환을 이끌 것으로 예상. 다. 2023년 3분기 내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 뒤, 4분기에 제품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. 반도체 가격의 상승과 함께 재고감소 1-2. 주요원인 가. 모건스탠리는 시장에서 DRAM 수요증가와 감산에 따른 공급감소 요인으로, 3분기 기점으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게 될 것으로 전망. 나. 메모리 감산에 따른, SK하이닉스 DRAM사업 흑자전환. DDR5, HBM 양산이 실적에 기여. SK하이닉스 전체매출대비 DRAM 비중 60%, 낸드비중 32%, 기타 8% 양산진행 SK하이닉스는 지난해 6월 HBM을 업계 최초로 양산하며 인공지능(AI) 시장향 메모리 반도체 수요에 적극 대응. HBM은 여러 개 DRAM을 수직으로 쌓아 데이터처리 속도를 높인 제품이며,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는 데 쓰이는 그래픽처리장치(GPU)에 HBM이 탑재된다. DDR5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했다. DDR5는 현재 업계 표준규격인 DDR4보다 용량은 4배, 데이터 처리 속도는 2배 빨라진 D램 반도체 규격이다. 다. NAND플래시 감산, 모바일 신제품 …...더보기